본문 바로가기

요리정보

인도 커리 일본 카레 차이 효능

300x250

안녕하세요. 공마인입니다 :) 

 

저희 집은 한두달에 한번씩 꼭 카레를 먹어요

남편이 카레를 엄청 좋아하기 때문인데요

특히 일본식 카레를 좋아한답니다

 

 

일본 카레와 인도 커리의 차이가

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!

 

카레를 알려면 먼저 커리에 대해 알아야하는데요

커리는 3000년 전 인더스 문명에서 그 형태가

발견됐을 정도로 오래된 음식이라고 합니다!

 
 

인도는 지리적 특성에 따라

여러 문명이나 향신료를 접할 수 있었는데

이 때 커리의 핵심 재료인 코리앤더, 카디멈,

육두구, 생강, 마늘, 클로브 등 여러가지 다양한

향신료를 이용해 지역, 취향에 따라 배합하여

음식을 만들었습니다

그게 바로 마살라 커리

 

인도에서 향신료는 맛과 향 뿐만 아니라

열대 기후에서 음식이 쉽게 상하는 걸 막아주고

건강식품으로도 활용되었기 때문에

커리를 비롯한 과자, 음료에도 첨가되기도 합니다

19세기 들어서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화할 때

인도 현지 커리를 영국에 들여왔답니다

영국에서는 자국 요리인 스튜와 함께 접목시키고

간단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

미리 향신료 배합이 된 커리 파우더

출시하면서 커리가 대중화 되었어요

20세기 초 영국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서

일본과 군사적 동맹을 맺게 되는데

이 때 일본에 커리가 전파되게 됩니다

 

당시 영국의 해군들은 주 1회씩 커리

만들어 먹을 정도 였는데요

 
 

당시 일본 해군에서는 각기병이 유행이라

그 원인을 찾고 있었는데

육식금지로 인한 단백질 부족이라 판단하여

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식 커리를 도입하게 됩니다

일본인들의 주식인 쌀과 커리를 결합해

커리라이스를 만드는데

일본 사람들은 커-리 발음이 안되어

카레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해요

 

 
 

우리나라도 일제 시대 때

일본의 카레 라이스가 한국으로 넘어오면서

인도의 커리를 일본식 카레라고 부르기 시작했어요

1969년 즉석카레가 소개되면서

카레가 대중화 되었고 우리나라 국내 브랜드가

3분 카레를 만들어내면서 누구나 손쉽게

즐겨먹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:)

 

뿌리는 인도 커리에 있지만

새로운 음식으로 변형시킨 일본식 카레

커리와 카레 둘 다 향신료 자체는 비슷하지만

이제 별개의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

커리는 여러가지 향신료와 물을 섞어

양념을 만든 뒤 채소와 고기를 넣고 끓여냅니다

주로 난과 함께 먹습니다

카레는 커리 파우더에 루를 넣고

걸쭉하게 만들아 주로 밥과 함께 먹습니다

카레 효능

카레 주 원료인 강황의 커큐민 성분과

여러가지 향신료에 들어있는 성분들이

항암과 항산화 작용 등 몸에 좋은 작용을 하고

특히 치매에 도움이 많이 된다 알려져 있어요

카레를 즐겨멱는 인도인들은

알츠하이머병 발생률이 1/4에 불과하고

커큐민 성분이 세포 산화를 방지하고

치매 진행을 지연시켜 준다고 합니다

오늘 이렇게 커리와 카레에 대해

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 어떠셨나요!

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!

그럼 이만!

300x250